목록전체 글 (6)
지식성장소

현가장치 스프링 이해 자동차의 진동 자동차의 승차감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주행 중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흡수하여야 한다. 따라서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충격이나 진동이 직접 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차감을 향상하며, 적재물을 보호하고, 무리한 충격으로 인하여 차체 각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완충장치를 포함하여 프레임과 차축 사이를 연결하는 일련의 기구를 현가장치라 한다. 자동차가 주행하면 기관과 동력 전달 장치 등에 의한 고유 진동이 발생하고 또한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진동, 그 외에 다른 힘(구동력, 제동력, 원심력, 풍력 등)에 의한 진동 등이 발생한다. 차체의 운동과 진동은 자동차의 무게중심을 원점으로 하고,..

종감속 기어 및 차동장치 종감속 기어의 이해 기관에서 발생된 동력은 변속기에서 변속과 동시에 토크 변환이 되어 전륜 구동형 자동차의 경우 드라이브 라인을 통하여, 후륜 구동형 자동차는 추진축을 통하여 구동바퀴로 전달된다. 그러나, 기관에서 발생된 동력을 변속기의 변속비만으로는 구동바퀴에서 충분한 구동력을 얻을 수 없으므로 변속기와 구동바퀴 사이에 다시 한번 감속을 시켜 구동력을 키움과 동시에 동력 전달 방향을 직각 또는 이에 가까운 각도로 적절하게 바꾸어 준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을 종감속 기어라 하며 이때 감속되는 감속 비를 종감속 비라 한다. 또, 주행 중 선회 운동이나 노면의 요철로 인하여 좌우 구동바퀴의 회전 차이가 있을 때 구동바퀴가 미끄러지지 않고 자동적으로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게 하는 ..

공기조화장치와 냉난방장치 이해하기 공기조화장치의 역할 자동차의 공기조화 장치는 주행 중 유리창의 흐림이나 성에 부착 등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함으로써 안전한 운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운전자나 탑승객에게 쾌적한 차실 내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간의 쾌적성을 좌우하는 조건으로는 온도, 습도, 풍속의 3가지 요소가 있으며, 여름철에는 온도와 습도를 중요시 여긴다. 차 실내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인간의 쾌적 정도는 건구 온도 25도가 쾌적 대의 중심이나 차량에 따라 복사열의 영향이 크게 차이가 난다. 한랭 상태에서는 실내온도 25~28도 습도 55~70도, 한여름에는 실내온도 23~26도 습도 60~75가 최대 쾌적 조건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쾌적한 환경을 위해서는 ..

시동장치의 구성요소 파헤치기 시동장치의 구성과 기동 전동기의 원리 자동차용 기관은 스스로 크랭크축을 회전시켜 시동할 수 없으므로 축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기동 전동기를 이용하여 시동을 걸어야 한다. 이와 같이, 기관을 시동하려고 할 때 최초의 흡입 및 압축행정에 필요한 힘을 외부에서 제공하여 기관을 회전시키는 일련의 장치를 시동장치라 한다. 시동장치는 축전지, 기동 전동기, 시동 스위치 및 전기배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관을 시동할 때에 전동기의 토크는 전동기 축에 끼워진 피니언으로부터 기관 플라이휠 바깥 둘레에 장착된 링 기어에 전달되어 크랭크축을 구동시킨다. 점화장치의 작동에 의해 기관이 시동되면 피니언은 링 기어에서 풀리고 전동기는 정지한다. 다음으로는 기동 전동기의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기..

축전지의 구조와 원리 이해 축전지의 충전과 방전축전지의 충, 방전 작용으로는 축전지의 (+), (-)의 두 단자 사이에 부하를 접속시키고 축전지로부터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을 방전이라 하고, 반대로 충전기나 발전기 등의 직류 전원을 접속하여 축전지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충전이라 한다. 방전 또는 충전을 하면 축전지 내부에서는 (+) 극판과 (-) 극판, 전해액 사이에 다음과 같은 화학반응이 일어난다. 방전이란 양극판의 과산화 납은 방전하면 과산화 납 중의 산소가 전해액의 수소와 결합하여 물이 생성되며, 과산화 납 중의 납은 전해액의 황산기와 결합하여 황산을 생성하여 백의 황산납이 된다. 음극판의 해면상 납도 양극과 같이 황산기와 결합하여 황산납이 된다. 이와 같이 방전시키면 양극과 음극의 두 극판에는 ..

축전지의 기본적인 구조와 원리 축전지의 기본 구조와 구성요소 일반적으로 축전지는 방전을 하였을 경우 재충전이 되지 않는 건전지와 같은 1차 전지와 방전을 한 후 전원에 의하여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분한다. 이 2차 전지를 축전지라 하며, 축전지에는 납산 축전지와 알칼리 축전지가 있다. 자동차용 전원으로 사용하는 축전지는 납산 축전지로써 양극판에 과산화 납, 음극판에 해면 모양의 순수한 납을 넣어 전해액(묽은 황산 용액)과 극판 사이에 화학적 작용이 일어나도록 한 전지이다. 납산 축전지에도 극판의 형식에 따라 페이스트식, 클래드식, 듀를 식이 있으나, 자동차용으로는 페이스트 식이 이용되고 있다. 알칼리 축전지는 니켈-카드뮴 전지가 있는데 전해액으로 수산화칼륨-알칼리 용액을 사용한다. 먼저 납산 축..